전후 일본의 '평화국가' 정체성을 떠받쳐온 평화주의는 기본적으로 일국평화주의다. 특히, 군부와 일부 관료, 정치인들에 의해 자신들또한 전쟁의 희생양이 되었다는 피해자 의식이 그런 일국평화주의를 지탱하는 여론의 근저에 놓여 있다. 세계의 평화를 위한 일본의 역할과 같은 부분보다는 전쟁에 휘말리고 싶지 않다는 의식의 측면이 중요했다. ("전후에 일본은 전쟁으로 사람을 죽인 적도 전쟁으로 죽임을 당한 적도 없었다"와 같은...) ... 그렇기 때문에, 집단 자위권의 행사를 공식화한 아베 내각은 전후 일본 여론의 공감대에 반하는 결정을 내린 셈이다. 무엇보다도, (남의 나라) 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공포를 자극하게 되었다. 자위대를 합헌조직으로 만들고, 방위청을 방위성으로 승격하고, 혹은 자위대를 국방군으로 만드는 것과는 완전히 차원이 다른 문제를 건드린 것이다.
일본 오사카서 빗속 집단자위권 반대 행진
기사입력 2014-07-07 09:44
(오사카 교도=연합뉴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이 지난 1일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기로 결정한 이후 일본 시민사회에서 저항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6일 오사카(大阪)시내에서는 오사카변호사회 주최로 시민 약 5천명이 참석한 가운데,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다. 참석자들이 빗속에 오사카 시내를 행진하고 있다. 2014.7.7 <<국제뉴스부 기사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