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와 국제 정세

유엔 핵무기금지조약 협상개시 안건, 한미일 반대, 북한은 찬성

DemosJKlee 2016. 10. 29. 01:30

日 핵무기금지조약 협상 반대표에 피폭자 "배신행위"


연합뉴스 | 입력 2016.10.28. 21:44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 분야)의 핵무기금지조약 협상 개시안에 반대표를 던진 데 대해 일본 내 피폭자들이 "배신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28일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피폭지인 나가사키(長崎)원폭유족회 시모히라 사쿠에(下平作江·81) 고문은 "협상 개시안이 유엔에서 처리된 것은 진전"이라면서도 "일본 정부가 앞장서서 핵폐기를 호소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히로시마(廣島)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 미마키 도시유키(箕牧智之·74) 부이사장은 "일본은 왜 반대해야 했느냐. 슬프고 화가 치민다"며 "목숨이 붙어 있는 한 핵보유국이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는 점을 호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히로시마 원폭자료관의 하라다 히로시(原田浩·77) 전 관장도 "정부가 핵무기금지조약 협상의 발목을 잡아선 안된다"고 비판했다.


나가사키 피폭자 단체는 기자회견을 하고 "반대표는 피폭자에 대한 배신 행위"라고 반발했다. 이 단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항의문을 보내기로 했다.


앞서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서는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멕시코, 나이지리아 등이 핵무기 사용금지 조약의 협상을 개시하자며 공동으로 발의한 결의안이 압도적인 표 차이로 통과됐다.


결의안이 유엔 총회에서 최종 채택되면 내년 3월 새로운 핵무기 금지 조약을 마련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


일본이 미국과 한국 등과 함께 결의안에 반대한 데 대해 핵무기 반대 국제단체들 사이에서는 "유일한 피폭 국가가 반대에 나선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아베 총리는 중의원 특별위원회에서 일본이 반대표를 던진 데 대해 "그렇게 간단한 판단은 아니었다"며 "현실에서 실질적으로 핵없는 세계로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도 "(핵무기 근절이라는) 이상도 중요하지만 핵보유국의 협력을 얻지 못하면 핵 보유국의 이상도 실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의 반대표는 현실적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힘을 쏟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핵 억지력 유지가 불가피한 데 따른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choinal@yna.co.kr



北, 유엔 핵무기금지조약 협상안에 찬성표
 

송고시간 | 2016/10/28 22:21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북한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 분야)의 핵무기금지조약 협상 개시안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졌다고 교도통신이 28일 전했다.


북한은 자신들의 핵개발이 미국의 핵 위협에 대한 억지력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미국의 핵무기 사용도 금지대상으로 하는 조약에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해석했다.


교도통신은 "북한의 핵무기폐기 결의 찬성은 자기들의 핵개발에 대해 '어디까지나 자위목적'이라고 정당화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핵무기 없는 세계'를 표방해 온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핵무기 개발에 거액의 예산을 투입하는데 대해 "기만행위"라고 주장해 온 만큼 이번 개시안에 미국이 반대한데 대해서도 비판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연합뉴스TV 제공]

choinal@yna.co.kr


The Historic UN Vote on Banning Nuclear Weapons


http://www.huffingtonpost.com/joe-cirincione/historic-un-vote-on-banni_b_12679132.html?utm_content=bufferaf12d&utm_medium=social&utm_source=facebook.com&utm_campaign=buffer



History was made at the United Nations today. For the first time in its 71 years, the global body voted to begin negotiations on a treaty to ban nuclear weapons.

Eight nations with nuclear arms (the United States, Russia, China, France, the United Kingdom, India, Pakistan, and Israel) opposed or abstained from the resolution, while North Korea voted yes. However, with a vote of 123 for, 38 against and 16 abstaining, the First Assembly decided “to convene in 2017 a United Nations conference to negotiate a legally binding instrument to prohibit nuclear weapons, leading towards their total elimination.”

The resolution effort, led by Mexico, Austria, Brazil Ireland, Nigeria and South Africa, was joined by scores of oth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