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김정은의 '비핵화 시간표'…北·美협상 트럼프에 공 넘겨[뉴스+]
DemosJKlee
2018. 9. 6. 21:46
文대통령·트럼프 메시지 동시 전달/ 金, 완전한 비핵화 약속으로 화답/ 金 “선제조치 평가 인색” 심경 토로/“동시행동 준수 땐 더 적극적 조치/ 종전선언·주한미군 철수 별개” 주장/ 美 ‘先 비핵화·後 보상’원칙과 충돌

9·5 대북 특별사절단의 최대 성과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 천명 및 로드맵 제시 등을 통한 북·미 비핵화 협상 추동력 확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남북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을 거쳐 시작된 북·미 협상은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선후관계를 놓고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특사단을 보내기로 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이 수석협상가(chief negotiator) 역할을 맡아 달라’며 특사편에 전할 메시지까지 맡겼다. 문 대통령 친서와 트럼프 대통령 메시지까지 챙겨간 특사단에게 김 위원장은 그간 절대 입 밖으로 꺼내지 않던 비핵화 로드맵까지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로 못박아 제시하며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했다. 미국 측을 협상테이블로 불러내기 위해 큰 카드를 꺼낸 것이다.
그 결과 특사를 맡았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6일 방북 결과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 발언을 대거 공개했다. 김 위원장이 밝힌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대·내외에 공표하는 것이 ‘남북관계 발전-북·미관계 발전-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의 선순환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상 발언 공개는 발언 측 사전동의가 필수인 만큼 이 역시 북한이 원하는 바였다. 정 실장이 전한 김 위원장 발언은 비핵화 및 종전선언의 진정성을 강조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먼저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는 변함없다”며 “참모는 물론이고 그 누구에게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이야기를 한 번도 한 적이 없다”고 특별히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한 신뢰를 보내며 미국이 협상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 셈이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핵·미사일 실험장 폐쇄 등 그간 선제조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각박한 평가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김 위원장은 “북한은 비핵화에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실천했다. 선의를 선의로 받아들여 줬으면 좋겠다”며 비핵화 관련 모종의 메시지를 미국에 전해 달라고 정 실장에게 요청했다. 정 실장은 “북한은 북한의 이런 선제적 조치들에 대한 상응조치가 이뤄지면 비핵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조치들을 계속해 나갈 수 있다는 의지를 강하게 밝혔다”며 “북한은 동시행동 원칙이 준수된다면 더 적극적인 비핵화 조치들을 취할 용의와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종전선언이 주한미군 철수 요구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정치적 선언인 만큼) 한·미동맹이 약화한다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한다는 것은 종전선언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아니냐”고 일축했다.
특사단이 평양에서 가장 집중 논의한 것은 결국 ‘선 비핵화-후 보상’을 고집하는 미국과 ‘비핵화·보상 동시행동’을 요구하는 북한 입장을 어떻게 좁힐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 완전한 비핵화’를 다짐하고 답신 형식으로 미국에 메시지까지 보낸 김 위원장 반응을 봐선 특사단이 제시한 중재안에 북측도 어느 정도 동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관건은 이 같은 중재안과 김 위원장의 메시지가 ‘일단 중단’ 상태인 미국을 다시 협상장으로 불러낼 수 있을지다.
일부에선 “알맹이가 없다”며 특사단 방북 결과에 부정적이나 ‘주연 트럼프 대통령’을 빛내주기 위한 상당한 협의와 조율이 이뤄졌다는 관측이 더 타당하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특사단이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 없는 것은 ‘공’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가 그 공을 뺏어 골을 넣으려 해서는 안 되기에 자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종전선언을 고리로 한 문 대통령 중재안은 향후 평양 남북정상회담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추진 중인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무대에 본격 등장할 전망이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남북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을 거쳐 시작된 북·미 협상은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선후관계를 놓고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특사단을 보내기로 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이 수석협상가(chief negotiator) 역할을 맡아 달라’며 특사편에 전할 메시지까지 맡겼다. 문 대통령 친서와 트럼프 대통령 메시지까지 챙겨간 특사단에게 김 위원장은 그간 절대 입 밖으로 꺼내지 않던 비핵화 로드맵까지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로 못박아 제시하며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했다. 미국 측을 협상테이블로 불러내기 위해 큰 카드를 꺼낸 것이다.
![]() |
김정은과 환담하는 특사단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왼쪽 세번째)이 이끄는 문재인 대통령 대북 특별사절단 대표들이 5일 평양 조선노동당 본관 진달래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 첫번째)과 2018년 3차 남북정상회담 일정과 남북관계 진전, 비핵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 |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대북 특사단을 배웅하는 김 위원장의 모습.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옆에 서서 함께 배웅하고 있다. |
![]() |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대북 특사단을 배웅하는 김 위원장의 모습.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옆에 서서 함께 배웅하고 있다. |
먼저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는 변함없다”며 “참모는 물론이고 그 누구에게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 이야기를 한 번도 한 적이 없다”고 특별히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한 신뢰를 보내며 미국이 협상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 셈이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핵·미사일 실험장 폐쇄 등 그간 선제조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각박한 평가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김 위원장은 “북한은 비핵화에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실천했다. 선의를 선의로 받아들여 줬으면 좋겠다”며 비핵화 관련 모종의 메시지를 미국에 전해 달라고 정 실장에게 요청했다. 정 실장은 “북한은 북한의 이런 선제적 조치들에 대한 상응조치가 이뤄지면 비핵화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조치들을 계속해 나갈 수 있다는 의지를 강하게 밝혔다”며 “북한은 동시행동 원칙이 준수된다면 더 적극적인 비핵화 조치들을 취할 용의와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종전선언이 주한미군 철수 요구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정치적 선언인 만큼) 한·미동맹이 약화한다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한다는 것은 종전선언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아니냐”고 일축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을 이끌고 평양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6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방북 성과 설명을 하고 있다. |
일부에선 “알맹이가 없다”며 특사단 방북 결과에 부정적이나 ‘주연 트럼프 대통령’을 빛내주기 위한 상당한 협의와 조율이 이뤄졌다는 관측이 더 타당하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특사단이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 없는 것은 ‘공’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가 그 공을 뺏어 골을 넣으려 해서는 안 되기에 자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종전선언을 고리로 한 문 대통령 중재안은 향후 평양 남북정상회담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추진 중인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무대에 본격 등장할 전망이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