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1-11-14 21:26:32ㅣ수정 : 2011-11-14 21:36:46
9월 말부터 10월 초에 걸쳐 독일 베를린에 갔다. <북한 현대사>를 쓰기 위해 옛 동독의 평양대사관 자료를 보러 간 것이다. 북한사 자료는 입수하기 어렵고 시기별로 다른 자료를 구해야 한다. 김일성의 만주항일전쟁 시기의 경우 중국 문서관에 있는 중국공산당 문서가 중요하며 이는 중국 내부발행 자료집에 모두 들어 있다. 이 자료집은 일본에서도 몇몇 대학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해방 후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소련 점령하의 건국기는 소련 점령군 자료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이는 한국 젊은 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잘 드러나 있다. 한국전쟁기에 대해선 소련의 대통령 문서관에 있는 스탈린, 마오쩌둥, 김일성, 소련 대사 간의 교신 자료가 공개돼 있다.
한국전쟁 정전부터 1950년대 말까지는 소련 대사, 대사관 직원이 김일성과 남일 정권 측, 추방당한 소련계 등 반대파로부터 이야기를 들어 북한 내정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었다. 이에 그 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외국공산당연락부와 주북한 소련대사관 자료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이 가운데 외국공산당연락부의 1953~1957년 자료가 마이크로필름화돼 판매됐고 소련대사관 자료는 한국 연구기관이 인터넷상에서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유격대 국가’라고 이름 붙인, 북한의 독특한 체제가 형성된 1960년대의 경우 평양의 외교사절 문서 거의 전부를 공개하고 있는 옛 동독, 독일민주공화국의 대사관 자료가 주목을 끈다. 이 옛 동독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베를린에 간 것이다.
우선 베를린 교외에 있는 연방문서관 분관에 독일사회주의통일당 중앙위원회 대외부의 문서가 있다. 여기서 필자는 1960~1962년 자료, 에리히 호네커·김일성의 회담 자료 등을 복사했다.
그리고 옛 동베를린 지구에 있는 외무성 문서관에서 1960년대 후반의 자료를 봤다. 그러나 예상한 대로 1960년대 사회주의국가의 평양 주재 외교관들은 북한 정권의 내부사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아무 정보도 갖고 있지 않았다. 북한 당국은 이미 자국민에게 외국 외교관과의 접촉을 엄격히 금지한 것이다. 이에 동독 대사가 소련 대사를 만나 물어봐도 아무것도 모른다는 얘기만 들어야 했다.
1967년 5월과 7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갑산파를 숙청해 유일사상 체계를 확립한 결정적인 회의였다. 하지만 외교관들은 회의가 열린 사실 자체를 몰랐다. 북한은 1968년 유격대 남파가 실패하자 그 책임을 물어 민족보위상 김창봉 등을 숙청하게 된다. 이에 대해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대표부 서기관은 “민족보위성 지도부에 변화가 있는 것 같은데 이것이 북한 정책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누구나 의문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상하다”는 말을 반복할 따름이다.
필자가 이 시기의 사안 중 가장 관심을 기울인 것은 1968년의 대남공작이 베트남전쟁의 전개와 실질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다. 이 점과 관련해 1967년 8월26일 베트남 대리대사와 동독 대사의 대화 자료를 발견했다. 베트남 대사의 말은 충격적이었다.
그는 북한에 대해 극도로 비판적이고 부정적이었다. “조선노동당 지도부의 정책은 전혀 마르크스-레닌주의적이지 않다.” “대외정책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부는 두 개의 얼굴을 조종하고 있다. 그들은 거짓과 속임수를 쓰고 있다. 우리에겐 이렇다고 말하고 중국인에겐 저렇다고 하고, 소련인에겐 또 다르게 말하는 것이다. 이런 일도 오래 갈 수가 없다.” “한반도 전쟁 위기에 대한 소문은 프로파간다다. 한반도 정세는 우리와는 전혀 다르다.”
이 말은 베트남인이 북한의 ‘우리 식’에 대한 이해 및 평가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유격대 국가’의 성립 과정은 극히 심각했다는 얘기가 된다.
주말엔 베를린 관광을 했다. 동서 독일의 통일 이후 21년이 경과한 베를린은 독일인 관광객으로 북새통을 이뤘다. 가을인데도 햇살은 뜨거워 여성들은 여름 옷차림을 하고 돌아다녔다. 전체적으로 베를린은 밝고 활기찼다. 애초 브란덴부르크 문은 어두운 색조를 띨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찌든 때를 씻은 문은 밝은 크림색으로 보여 왠지 맥빠진 느낌이었다. 어디에도 동서 베를린이 분할된 비극, 소련군에 의해 베를린이 함락된 비참함, 나치 독일의 수도였던 악몽은 보이지 않았다. 그래도 거리를 걷는 중에 베를린 벽이 어떤 모습으로 둘러쳐져 있었는지 알게 됐다. 전차를 갈아타는 포츠담 광장에 있는 벽의 흔적이 이를 말해주고 있었다.
베를린이 동서로 나눠졌을 때, 브란덴부르크문에서부터 동쪽은 옛 동독에 속해 있었다. 운터덴린덴 거리, 국립도서관, 훔볼트 대학, 국립가극장, 베를린 대성당, 박물관 섬 등 베를린의 중요한 건물은 모두 동쪽에 있다. 20년이 지났지만 수많은 독일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는 이유다.
생각해보면 수도가 분할된다는 것은 국토 분단 이상으로 두려운 사태이자 비극이다. 이는 직접적으로는 연합국의 공동점령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지만, 원래는 소련군에 의한 수도 정복, 나치 국가의 분쇄라는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독일인은 오랫동안 그 사태를 이겨내고 드디어 1990년 비극은 끝이 났다. 그 긴 비극의 세월은 히틀러 체제를 자신들의 선택으로 만들어내고 지탱해온 것에 대해 독일 국민이 치른 대가다. 밝은 베를린 시내를 동으로 서로 왕래하면서, 아무런 책임이 없는데도 일본이 지은 죄 때문에 분단돼 지금도 통일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한반도의 현실을 다시금 생각했다.
현재 베를린에는 과거 동독 국가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흔적이 없다. DDR박물관이 있으나 너무 빈약하고 독일민주공화국의 역사는 거의 농담의 대상이 돼버렸다는 느낌을 받았다.
게다가 베를린이 나치 독일의 수도였다는 것도 여기서는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살해당한 유대인의 기념비가 브란덴부르크 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으나, 큰 인상을 주진 못했다. 히틀러가 죽은 총통 관저의 흔적이 당연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관광 안내서에도 올라 있지 않았다. 당시의 일을 떠올릴 수 있는 흔적은 국회의사당이다. 그 앞 묘지에 앉아 잠시 베를린 함락의 장면을 떠올렸다. 의사당 입구에는 나치에게 살해당한 의원들을 기리는 작은 기념비가 있었다.
지게스 조일레로 불리는 전승기념탑을 보러 갔다. 도대체 어떤 전승을 기념한 탑일까 궁금해서다. 브란덴부르크 문에서 서쪽으로 거대한 숲속을 가로지르는 ‘6월17일 거리(1953년 6월17일 동베를린에서 벌어진 노동자 시위를 기념해 붙여졌다)’로 나아가면 볼 수 있다. 이런 탑은 여러 유럽 도시에도 있다. 이탈리아 로마에는 트라야누스 황제 기념비가 있다. 프랑스 파리 방돔광장에는 아우스테를리츠 전투 승리를 기념해 나폴레옹이 직접 건조한 원기둥이 있다. 러시아 페테르부르크에는 겨울궁전 앞 광장에 알렉산드르 1세 전승기념비가 있다. 러시아에 침입한 나폴레옹군을 격파한 1812년 승리를 기려 만들어진 것이다.
베를린의 전승탑은 1846년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가 덴마크에 승리한 것을 기념해 건립이 계획된 것으로,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후에 건립이 착수돼 보불전쟁 후인 1873년에 완성됐다. 이는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 세워졌다. 세 개의 전쟁 기념품이 탑 안에 있다. 그러나 1938년 나치 정부에 의해 이 탑은 국회의사당 앞에서 지금의 장소로 옮겨져 새로 지어졌다. 과거 60.5m였던 탑은 67m로 높아졌다.
이 작업을 지휘한 이는 나치의 설계가로 히틀러가 베를린 건설총감독에 임명한 알베르트 슈페어다. 슈페어는 뉘렌베르크 전범재판에서 20년 금고형을 선고받았다. 즉 유럽 최대의 이 전승탑은 나치의 전승이 확실히 새겨져 있고 베를린에 남은 거의 유일한 나치 기념물인 것이다.
필자는 285개의 계단을 올라 전승탑 정상에 도달했다. 탑 위에서 본 비가 내리는 베를린은 자욱했다. 탑은 온전히 남아 관광명소의 하나가 됐지만 나치와의 관계가 강조되지 않은 것은 유감이었다.
-----------------------------------------------------------------------------------------------------------
[경향 칼럼] 대서양에서 태평양 시대로 - 이성형 (0) | 2011.11.21 |
---|---|
중국의 국치일- 동아일보 관련 기사 (0) | 2011.11.16 |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김현종, 김종훈, 그리고 정치인들의 발언 정리 (0) | 2011.11.08 |
핵강국들, 군축 약속에도 핵무기 개발에 돈 쏟아붓는다 (0) | 2011.11.01 |
"미국은 테러 공포 먹고사는 '국가안보복합체'의 나라"-프레시안 기사, 엥겔하트 원문 (0) | 2011.09.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