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86)
    • 동북아와 국제 정세 (341)
    • 진보정당 및 진보정치 (34)
    • 대안의 사회과학 (105)
    • 한반도 (312)
    • 일본 확대경 (81)
    • 문화읽기 (228)
    •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27)
    • 앨범과 사진자료 (13)
    • 일본에서의 홀로살이 Life in Japan (17)
    • 페이스북 (2)

검색 레이어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한반도

  • 가까워지는 북한과 러시아, 어떻게 볼 것인가

    2024.08.24 by DemosJKlee

  • 북한 대남기구 해체 현황

    2024.03.27 by DemosJKlee

  •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2024.01.22 by DemosJKlee

  • 美전문가,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2024.01.13 by DemosJKlee

  •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

    2024.01.06 by DemosJKlee

  • 한미일 '대북 新이니셔티브' 추진… "북한 비핵화 의무 재확인"

    2023.12.09 by DemosJKlee

  • 유엔사의 수상한 움직임과 대만 사태 [세상읽기]

    2023.11.16 by DemosJKlee

  • [경향신문] 한·미·일 첫 연합공중훈련···핵무장 가능한 B-52H 참가

    2023.10.22 by DemosJKlee

가까워지는 북한과 러시아, 어떻게 볼 것인가

가까워지는 북한과 러시아, 어떻게 볼 것인가북·러 정상회담에 대해 국내와 미국의 온도차가 느껴진다. 미국 측 전문가는 러시아가 기술지원을 했다고 의심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전례가 없다며 다소 느긋해한다.남문희 편집위원입력 2023.11.03 06:19호수 841  9월13일 보스토치니 정상회담에서 악수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왼쪽)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 Photo 보스토치니 북·러 정상회담(9월13일)에 대해 국내와 미국의 온도차가 느껴진다. 미국 측 전문가들은 지난 7월12일 이뤄진 고체연료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화성포 18호의 배후에 러시아의 기술지원이 있었다는 의심을 강하게 갖고 있다. 따라서 보스토치니 이후 무엇이 더 튀어나올지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반면 국내 일부에서는 옛 소..

한반도 2024. 8. 24. 21:24

북한 대남기구 해체 현황

[그래픽] 북한 대남기구 해체 현황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북한이 잇따라 대남기구를 정리하는 가운데 70여년 역사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조국전선)도 해체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3일 평양에서 조국전선 중앙위원회 회의가 열렸다면서 이 회의에서 기구가 정식 해체를 결정했다고 24일 보도했다. circlemin@yna.co.kr

한반도 2024. 3. 27. 22:33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수정 2024-01-22 10:21 등록 2024-01-22 09:59 문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이 16일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한반도 정세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이래 최대 위기”라는 진단도 내놓는다. ‘이러다가 전쟁 터지는 것 아닌가’라는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그런데도 남북한 지도자들은 ‘치킨 게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전쟁을 먼저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전쟁을 피하지도 않겠다”는 식의 말폭탄과 무력시위를 주고받고 있다. 한편 1월 13일 대만 총통 선거에서 민주진보당(민진당)의 라이칭더 후보가 당선되면서 양안 관계 및..

한반도 2024. 1. 22. 19:18

美전문가,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美전문가 "美와 관계 정상화 포기한 北, 전쟁하기로 결정한듯" 송고시간2024-01-13 07:54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김정은,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발사대 차량 공장 시찰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한반도 상황이 6·25 전쟁 직전만큼이나 위험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잦은 '전쟁' 언급이 허세가 아닐 수도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주장했다. 미국 미들베리국제연구소의 로버트 칼린 연구원과 지그프리드 해커 교수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한반도 상황이 1950년 6월 초반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더 위험하다"며 "김정..

한반도 2024. 1. 13. 21:43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새 전략 모색 필요 송고시간2024-01-06 09:00 김정은 '적대적 두 국가관계' 선언…대남기구 사라지고 '통일' 지워 전원회의에서 '2024년도 투쟁과업' 제시하는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6일부터 개최되었던 연말 전원회의가 30일 결속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1일 보도했다. 2023.12.31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북한이 남북한 사이의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하면서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이후 유지돼온 '특수관계'라는 프레임이 막을 내릴지 주목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작년 연말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 결론에서 "북남(남북) 관계는 더 이상 동족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

한반도 2024. 1. 6. 19:38

한미일 '대북 新이니셔티브' 추진… "북한 비핵화 의무 재확인"

한미일 '대북 新이니셔티브' 추진… "북한 비핵화 의무 재확인" 입력 2023.12.09 15:30 수정 2023.12.09 15:3 '3국 안보실장회의' 서울서 첫 개최 북한 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 합의 국제질서 수호 외치면서 북중러 견제 조태용 국가안보실장(가운데), 제이크 설리번(왼쪽)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실장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한미일이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새로운 3국 이니셔티브'를 추진한다. 북한의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군사적 위협 대응을 비롯해, 사이버 범죄, 암호화폐 세탁까지 공조 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세 국가는 안보뿐만 아니라 기술·경제까지 파..

한반도 2023. 12. 9. 18:31

유엔사의 수상한 움직임과 대만 사태 [세상읽기]

유엔사의 수상한 움직임과 대만 사태 [세상읽기] 등록 2023-10-06 09:00수정 2023-10-06 12:43 김종대ㅣ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이 지난달 25일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지난 9월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전략포럼에서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이 의미 있는 발언을 했다. 그는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을 통합 지휘하는 ‘극동군사령부’를 창설하자고 했다. 8월에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삼국 정상회의가 새로운 합동 지휘체계를 논의할 수 있는 여건을 성숙시켰다는 이야기다. 만일 극동군사령부 창설이 어렵다면 지금의 유엔군사령부를 합동 지휘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대안도 ..

한반도 2023. 11. 16. 18:36

[경향신문] 한·미·일 첫 연합공중훈련···핵무장 가능한 B-52H 참가

한·미·일 첫 연합공중훈련···핵무장 가능한 B-52H 참가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2023.10.22 17:01 입력 2023.10.22 17:05 수정 한반도 인근 상공에서 사상 첫 3국 연합공중훈련 일본의 방위력 강화와 한반도 문제 개입 빌미 우려 지난 17일 미국 공군의 B-52H 전략폭격기와 한국 공군의 F-35A 전투기들이 한반도 상공에서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 공군 한국 공군, 미국 공군, 일본 항공자위대가 22일 한반도 인근 상공에서 사상 처음으로 3국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한다. 북핵·미사일 위협 대응이 명분이지만 중국을 불필요하게 자극하고, 일본의 방위력 강화와 한반도 문제 개입 구실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미 군 소식통에 따..

한반도 2023. 10. 22. 17: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39
다음
TISTORY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