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라는 말은 1922년 체코의 극작가 카렐 차페크가 쓴 공상과학 희곡 <로섬의 만능로봇들>에서 처음 등장했다. 로봇은 체코어로 ‘강제 노동’을 뜻하는 ‘로보타’(robota)에서 왔다. 이 희곡에서 로봇들은 로섬 공장에서 인간을 위해 일하도록 고안됐는데, 결국 반란을 일으켜 인간을 정복한다. 그 이후 SF 작가들이나 장난감 제작자들, 기술자들 사이에서는 누가 가장 위협적인, 또는 가장 쓸모 있는 로봇을 발명하는가를 놓고 경쟁이 생겨났다.
미국은 로봇 비행기로 이 경쟁에서 승리한 것처럼 보인다. 로봇 비행기의 첫 번째 버전은 ‘프레데터’(Predator 포식자)로 불렸다. 이 살상용 비행기는 아주 멀리 떨어진 곳의 컴퓨터 앞에 앉아 화면을 보면서 버튼을 누르는 사람이 몬다. 그것은 로켓포를 터뜨려 미국의 ‘적’, 더 정확하게는 ‘적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암살하는 데 쓰인다. 적으로 의심되는 사람과 어쩌다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폭발 전에는 공격이 있으리라 생각조차 못한다.
이러한 살상용 로봇은 유인 항공기보다 어떤 점에서 더 유용한가? 답은 명백하다. 조종사가 죽거나 다칠 위험이 없다. 이것은 한쪽은 죽이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죽기만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종류의 전쟁수행 방식이다. 그걸 전쟁이라 부를 수 있다면 말이다. 이는 미국의 중동 주둔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또 다른 새로운 형태의 전쟁수행 방식인 자살폭탄 공격과는 정반대편에 서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만 자살폭탄 공격은 불가피하게 살상자 본인도 피해자들과 함께 죽게 된다.
왜 미국은 이 엄청나게 비싼 비행기를 필요로 하는가? 많은 사람들은 눈치채지 못했을지 모르지만, 버락 오바마가 재선 직후 연설에서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대’라고 불렀던 미군은, 전쟁에서 이기는 능력을 잃어버렸다.
한국 독자들을 대상으로 이 글을 쓰는 입장에서 나는 아마도 한국전쟁에 대한 견해(내가 보기에 그 전쟁은 무승부로 끝났다)를 표명하지 말아야 할지도 모르지만,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베트남전쟁 이래 미국은 어떠한 주요 전쟁에서도 명백한 승리를 거둔 적이 없다. 몇몇 군대를 물리치거나 물리친 것처럼 보인 적은 있지만 전쟁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많은 이유가 있지만 주된 것은 미국이 이길 수 없는 전쟁들을 수행했다는 데 있다. 이 전쟁들은 침략자들로부터 미국을 지키기 위한 전쟁이 아니었고, 해외에 있는 미국의 제국을 지키려는 전쟁이었다. 미국은 항상 다른 나라에 나가 싸우고 있었다.
외국 군대가 어떤 나라를 침략하면, 침략당한 나라 사람들은 죽기살기로 싸우게 되고, 경우에 따라 대를 이어서 침략자를 몰아내기 위해 싸운다. 침략한 군대는 전쟁 초반에는 열정이 있을지 모르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그 열정은 사그라진다. 군인들에게 왜 남의 나라 땅에서 미국에 위협을 주지 않는 적들을 상대로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싸워야 하는지 설명하기 어려워진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미군 입대율은 떨어졌다.(미군은 베트남전 도중 의무병제를 폐지했다. 너무 많은 의무병들이 반전 활동가가 됐기 때문이다.) 모병자들은 규정을 바꿔서 나이 제한을 35세에서 42세로 올리고, 유죄 선고를 받은 중범죄자들도 개전의 정이 있으면 군대에서 받아줬다. 2008년부터 군 입대율은 다시 상승했다. 경제위기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해외 근무 미군들이 점점 덜 죽기도 했기 때문이다.
살상용 로봇 비행기 ‘리퍼’는 군인들이 많이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전쟁 수행에 완벽한 무기이다. 하지만 논평가들이 지적하듯, 그것으로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다. 미국이 암살한 ‘적으로 의심되는’ 이들에 대해, 그 마을에 사는 다른 많은 사람들은 분노하며 죽은 이들을 대신해 미군에 저항하는 싸움에 나선다.
미국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는 나라의 국민들은 생각해봐야 한다. 옳고 그름의 문제는 제쳐놓더라도 현실정책의 관점에서라도 전쟁에서 이기지 못하는 군대와 동맹을 맺는 것은 별로 현명한 행동이 아니다.
The word “robot” was coined in 1922 by the Czech playwright Karel Capec for his science fiction play R.U.R. (Rossum‘s Universal Robots). The word comes from the Czech robata, compulsory labor. In the play the robots, designed by the Rossum factory to labor for the human race, rebel and conquer the human race instead.
Since then there has been a kind of contest between science fiction writers, toy manufacturers and engineers as to who could invent the most frightening and/or useful robot.
It seems that America has won this contest with its robot airplane, the first version of which was called “Predator” (meaning an animal that lives by eating other animals). The newer model is called “Reaper” (meaning the angel of death). This killer aircraft is “piloted” by a person located far away, sitting at a desk, looking at a screen and pushing buttons. It is, we know from the newspapers, used to assassinate “enemies” of the US (more accurately, suspected “enemies”) by blowing them up with rockets. It seems that the people who get blown up (the suspected “enemies” and whoever happens to be nearby) have no idea they are being attacked until the explosion comes.
In what way is this killer robot more useful than an airplane with a pilot on board? The answer is obvious: the operator is in no danger of being killed or injured. This is a new kind of warfare (if indeed it can even be called “warfare”) in which one side does all the killing and the other side does all the dying. It seems to be the direct opposite of the other new form of warfare resorted to by many of the groups opposed to the US presence in the Middle East, the suicide bombing, in which the killer inevitably dies along with his or her victims.
Why does the US need this fabulously expensive aircraft? Many people have not noticed this obvious fact, but the US military, which Barack Obama said in his recent election victory speech is “the most powerful military in history”, has lost its ability to win wars.
Writing for Korean readers I probably should not give an opinion on the Korean War (though it seems to me it ended in a tie), but certainly from the Vietnam war on the US has not gained a clear victory in any of its major wars. It has defeated, or seemed to defeat, several armies, but it has not achieved its war aims.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I think the main reason is that the US has been waging wars that are not winnable. These are not wars to defend the US against an aggressor, but rather wars to defend the US empire abroad, and always fought in some other country.
When a foreign army invades a country, the people there will fight passionately, and if necessary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o drive it out. For an invading army there may be passion at the beginning, but as the years pass by, the passion fades. It becomes difficult to explain to the troops why they should risk their lives fighting in a foreign land, against an enemy that poses no threat to the US. Between 2002 and 2008 US military enlistment rates declined (the US military stopped drafting people during the Vietnam War, because too many draftees became anti-war activists). The recruiters changed the rules, raising the maximum age from 35 to 42, accepting convicted felons (if they showed repentance) etc. From 2008 enlistment began to rise again, partly because with the 2008 economic crash for many people there were no other jobs, and partly because fewer and fewer US troops were getting killed.
The Reaper killer robot aircraft is the perfect weapon for fighting a war that the soldiers don’t care about much. However, as many commentators have pointed out, it cannot achieve a victory. For every “suspected enemy” the US assassinates, many others are so enraged that they take his/her place.
People who have military alliances with the US should consider: morality aside, from the standpoint of realpolitik, it is unwise to make a military alliance with a loser.
<번역 | 손제민 기자>
<더글러스 러미스 | 정치학자·오키나와 거주>
CopyrightⓒThe Kyunghyang Shinmun, All rights reserved.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