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위안부는 대규모 인신매매… 일 공창제하 여성도 피해자”

일본 확대경

by DemosJKlee 2015. 2. 17. 16:07

본문

“위안부는 대규모 인신매매… 일 공창제하 여성도 피해자”

 
이서화 기자 tingco@kyunghyang.com

 

 

ㆍ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

일본군 위안부가 피해 여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공창(公娼)’의 일환이었다는 일본 극우세력 등의 주장에 대해 공창제를 연구한 일본 학자가 반론을 제시했다.

오노자와 아카네 일본 릿쿄대 교수(50·사진)는 22일 서울대 여성연구소 주최로 서울대에서 열린 집담회에서 “당시 공창제도하에 있던 일본 성매매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에 참여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 또한 자발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오히려 인신매매적 성격을 띤 일본 공창제로 인해 식민지 조선 등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이름의 대규모 인신매매가 가능했다는 주장이다.

그는 “창기·예기·작부 등 당시 공창제도 아래 있던 일본 여성들도 위안부로 징집됐다”고 말했다. 오노자와 교수는 “이들 대부분은 부모가 성매매 업주에게 ‘전차금’이라고 불리는 돈을 빌려 그 빚을 다 갚을 때까지 일을 그만둘 자유가 없었다”며 “위안부 동원도 이 전차금으로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성매매 업주나 알선업자들이 일본군의 의뢰를 받아 군자금으로 여성들에게 전차금을 내어주고 이들을 위안부로 동원했다는 것이다.

오노자와 교수는 “강요된 성매매였지만 한편으론 당시 사회에서 멸시받던 성매매 여성으로서 ‘고국에 도움이 된다’, ‘야스쿠니 신사에 안치된다’는 말에 홀리기도 했다”며 “하지만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여성은 한 명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군은 여성들에게 ‘너희들은 군속과 마찬가지’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군수물자로 취급했다”고 덧붙였다.

오노자와 교수는 “일본인 위안부가 조선인 위안부와 직접 관련이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본이 식민지나 세력권에 이 공창제도를 도입해 일본 국내를 넘어서 비인도적인 여성 매매를 확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 일본 정치가들이 위안부 피해 여성들이 ‘자유의사’로 돈을 벌기 위해 일했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하는 것은 놀랄 만큼 시대착오적”이라고 말했다.

오노자와 교수는 일본 극우 정치인들의 역사왜곡 발언이 이른바 ‘넷우익’이라고 하는 젊은층에게 흡수되는 것은 “제대로 역사 공부를 하지 못해 역사를 볼 수 있는 감각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식민지배의 기억을 갖고 있는 나이 든 사람들은 현재 일본보다 경제적으로 활력이 큰 한국과 중국을 못마땅해하고, 젊은 사람들은 한국 등이 역사문제로 일본을 비판하는 이유를 몰라 무섭다고만 한다”며 “세대와 상관없이 과거 범죄에 대해 인정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