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청자들, 한나라당 미디어관련법 반대! 언론노조총파업 지지 성원 봇물!!!

문화읽기

by DemosJKlee 2008. 12. 25. 23:07

본문

박혜진, 김주하 앵커 26일 MBC 파업동참, 뉴스 빨간불
기사입력 2008-12-25 15:56 |최종수정2008-12-25 15:58 


 

간부급 아나운서들 대거 뉴스 투입, 스포츠뉴스는 제작 불가

 

[노컷뉴스 방송연예팀 조은별 기자] 오는 26일 한나라당의 미디어관련법 개정안 상정에 반대하는 전국언론노조 MBC본부(이하 MBC노조, 위원장 박성제)의 총파업지침에 따라 MBC의 부장 대우 이하 노조원이 참여하는 모든 프로그램이 제작에 차질을 빚게 된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뉴스 프로그램. MBC 간판 뉴스 프로그램 ‘뉴스데스크’의 박혜진 앵커를 비롯, 마감뉴스인 ‘뉴스24’의 김주하 앵커, ‘뉴스투데이’ 이정민 앵커가 모두 파업에 동참함으로써 당분간 이들의 모습을 보기 힘들어 질 전망이다.

 

또 김정근, 허일후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스포츠뉴스’는 아예 제작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MBC 보도국 및 아나운서국은 비노조원인 부장 및 국장급 아나운서들을 긴급투입하며 스포츠 뉴스는 ‘뉴스데스크’에서 앵커멘트로 보도한다는 방침이다.

 

MBC 아나운서국에 따르면 기존 이정민 앵커가 진행하던 ‘뉴스투데이’는 김수정 아나운서 부장이 앵커석에 앉는다. 김수정 부장은 차미연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930뉴스까지 담당한다.

 

또 최율미 아나운서와 최대현, 하지은 아나운서가 진행하던 정오뉴스와 5시 뉴스는 이윤재 아나운서 부장이, 박경추, 박소현 아나운서가 진행하던 630뉴스와 김주하 앵커가 진행하던 뉴스24는 성경환 전 아나운서국장이 맡게 된다. 간판 ‘뉴스데스크’는 간부급인 신경민 앵커가 단독진행한다.

 

뉴스프로그램 외에도 MBC간판 프로그램들이 대거 제작이 중단될 전망이다. 인기 드라마인 ‘에덴의 동쪽’, ‘종합병원2’를 비롯,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 ‘일요일 일요일밤에’ 등도 파업의 영향을 받게 된다. 또 29,30,31일 진행되는 연예대상, 연기대상, 가요대제전의 경우 임시방편으로 비노조원 및 간부급 PD들이 연출을 맡게 된다.

 

MBC관계자는 “당장에야 연말 시상식 때문에 방송에 여유가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영향이 커지게 된다”며 “조속한 시일 내 좋은 방향으로 마무리되길 바랄 뿐이다”라고 속내를 전했다.

 

한편 MBC는 신문과 방송의 겸업 허용, 대기업의 방송 소유 허용 등을 골자로 한 7개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 상정에 반대하는 전국언론노조의 파업지침에 따라 26일 06시부터 총파업을 강행한다. 이번 파업은 지난 1999년 통합 방송법 제정을 앞두고 실시한 총파업 이후 9년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mulgae@cbs.co.kr

 

[마이데일리 = 양지원 기자] '무한도전' 제작진이 전국언론노동조합의 노조원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프로그램 방송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26일 오전 6시부터 전국언론노조가 총파업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MBC '무한도전'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홈페이지를 통해 제작진에게 응원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시청자들 다수는 "한나라당의 '미디어관련법' 개정 반대합니다. 무한도전팀과 MBC를 지지 합니다"라는 의미의 의견을 올리고 있으며 "'무한도전' 파업 지지합니다. 방송이 안되면 괴롭겠지만 열심히 응원할 것입니다" 등 끊임없이 격려 글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무한도전' 고정 팬들은 '무한도전'의 연출을 맡은 김태호PD에게 역시 힘을 실어주고 있다.

 

"무한도전 못 보는건 힘들지만 김태호PD님을 지지합니다", "대인배 TEO 이젠 존경스럽다", "태호PD님 힘내서 이기세요" 등 다양한 응원 글들을 올리며 '무한도전' 파업을 지지 중이다.

 

'무한도전' 제작진은 26일부터 파업이 시작됨에 따라 25일 진행되는 방송 녹화분과 '무한도전 콘서트'는 예정대로 진행 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파업은 언론노조가 신문과 방송의 겸업, 대기업 방송 소유 허용 등을 주 내용으로 한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에 반발해 일어난 것이다.

 

한나라당은 신문사와 대기업이 지상파 방송사의 지분을 20%까지,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의 경우 49%까지 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명시한 방송법 개정안, 신문사의 방송 겸영 금지를 삭제하겠다는 신문법 개정안, 인터넷 포털 통제를 주 내용으로 한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포함한 미디어산업 관련 7개의 법률개정안을 발표했다.

 

이에 MBC 노조는 이미 지난 10월 21일 진행된 '정권의 방송장악 반대' 총파업 찬반투표에서 94.8%의 투표율을 보이며 총 87.69%가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MBC 노조의 총파업은 지난 1999년 통합 방송법 제정 당시 이후 9년만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