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86)
    • 동북아와 국제 정세 (341)
    • 진보정당 및 진보정치 (34)
    • 대안의 사회과학 (105)
    • 한반도 (312)
    • 일본 확대경 (81)
    • 문화읽기 (228)
    •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27)
    • 앨범과 사진자료 (13)
    • 일본에서의 홀로살이 Life in Japan (17)
    • 페이스북 (2)

검색 레이어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2024.01.22 by DemosJKlee

  • [연합]김정은, 통일 폐기 '속도전'…대남기구정리·주적규정·헌법명기

    2024.01.16 by DemosJKlee

  • [경향]마이클 왈저 “나토 확장이 우크라전 촉발? 동의 못해···안보, 러 아닌 동유럽이 필요”

    2024.01.16 by DemosJKlee

  • 북 “극초음속 고체연료 미사일 성공”…한미일 방어체계 위협

    2024.01.15 by DemosJKlee

  • 美전문가,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2024.01.13 by DemosJKlee

  •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

    2024.01.06 by DemosJKlee

  • [글로벌 포커스] 미국과 중국의 격화하는 남태평양 패권 쟁탈전

    2024.01.01 by DemosJKlee

  • [특별기고] ‘광장 민주주의’ 없는 ‘광장 정치’에는 희망이 없다-한국일보

    2023.12.27 by DemosJKlee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전문]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인터뷰 : 한반도 위기, 진단과 해법 수정 2024-01-22 10:21 등록 2024-01-22 09:59 문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이 16일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한반도 정세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이래 최대 위기”라는 진단도 내놓는다. ‘이러다가 전쟁 터지는 것 아닌가’라는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그런데도 남북한 지도자들은 ‘치킨 게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전쟁을 먼저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전쟁을 피하지도 않겠다”는 식의 말폭탄과 무력시위를 주고받고 있다. 한편 1월 13일 대만 총통 선거에서 민주진보당(민진당)의 라이칭더 후보가 당선되면서 양안 관계 및..

한반도 2024. 1. 22. 19:18

[연합]김정은, 통일 폐기 '속도전'…대남기구정리·주적규정·헌법명기

김정은, 통일 폐기 '속도전'…대남기구정리·주적규정·헌법명기(종합) 송고시간2024-01-16 11:31 2주 새 지체없이 진전…미사일·포격 도발 병행해 긴장 고조 북한, 최고인민회의 개최…조평통·금강산국제관광국 폐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15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0차 회의를 열어 남북회담과 남북교류업무를 담당해온 조국평화통일위원회와 민족경제협력국, 금강산국제관광국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6일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회의에 참석해 시정연설을 했다. 2024.1.16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오수진 기자 = 북한이 새해 들어 대화는 끊고 대결을 향해 나아가는 절차를 거침없이 밟아감에 따라 한반도 긴장 수위가 고조되는 모양새다. 전문가..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024. 1. 16. 22:27

[경향]마이클 왈저 “나토 확장이 우크라전 촉발? 동의 못해···안보, 러 아닌 동유럽이 필요”

마이클 왈저 “나토 확장이 우크라전 촉발? 동의 못해···안보, 러 아닌 동유럽이 필요” 2022.04.25 21:56 입력 워싱턴 | 김재중 특파원 인터뷰 - ‘정의전쟁론’ 마이클 왈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명예교수 마이클 왈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사회과학 명예교수.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제공 ■마이클 왈저 1935년 미국의 유대인 이민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하버드대와 프린스턴대 교수를 지낸 미국의 대표적인 정치철학자다. 그는 정의로운 전쟁과 그렇지 않은 전쟁에 대한 이론을 세웠을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정의, 민주주의, 민족주의, 사회운동, 페미니즘까지 폭넓은 주제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해왔다. 왈저는 모든 전쟁을 부정하는 평화주의와 모든 전쟁이 정당화된다고 보는 현실주의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전쟁 개..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024. 1. 16. 22:05

북 “극초음속 고체연료 미사일 성공”…한미일 방어체계 위협

북 “극초음속 고체연료 미사일 성공”…한미일 방어체계 위협 기자 권혁철,이제훈 수정 2024-01-15 21:26 등록 2024-01-15 20:54 북한이 고체연료를 사용한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5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14일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과 관련해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를 장착한 중장거리 고체연료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고체연료를 사용해 극초음속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한국의 3축 체계와 미국·일본의 미사일방어체계(MD)에 부담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 “미사일총국은 이번 시험이 강력한 ..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024. 1. 15. 21:52

美전문가,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美전문가 "美와 관계 정상화 포기한 北, 전쟁하기로 결정한듯" 송고시간2024-01-13 07:54 "김정은의 전쟁 언급 '허세' 아냐…한반도 문제 군사해법 추구할 수도" 김정은, 신형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 발사대 차량 공장 시찰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한반도 상황이 6·25 전쟁 직전만큼이나 위험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잦은 '전쟁' 언급이 허세가 아닐 수도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주장했다. 미국 미들베리국제연구소의 로버트 칼린 연구원과 지그프리드 해커 교수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한반도 상황이 1950년 6월 초반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더 위험하다"며 "김정..

한반도 2024. 1. 13. 21:43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

[연합뉴스 장용훈의 한반도톡] 남북관계 '91년 체제' 종언 맞나…새 전략 모색 필요 송고시간2024-01-06 09:00 김정은 '적대적 두 국가관계' 선언…대남기구 사라지고 '통일' 지워 전원회의에서 '2024년도 투쟁과업' 제시하는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6일부터 개최되었던 연말 전원회의가 30일 결속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1일 보도했다. 2023.12.31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북한이 남북한 사이의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하면서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이후 유지돼온 '특수관계'라는 프레임이 막을 내릴지 주목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작년 연말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 결론에서 "북남(남북) 관계는 더 이상 동족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

한반도 2024. 1. 6. 19:38

[글로벌 포커스] 미국과 중국의 격화하는 남태평양 패권 쟁탈전

[글로벌 포커스] 미국과 중국의 격화하는 남태평양 패권 쟁탈전 열강의 체스판 된 ‘지구촌의 파라다이스’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8252 남태평양 섬나라들, 전략적 중요성 갈수록 커져… 프랑스도 영향력 확장 중국의 ‘부채의 덫’에 위협감 증폭… 미국도 경제원조 대가로 미군 주둔 파푸아뉴기니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일본군은 1942년 2월 19일 파푸아뉴기니에 주둔했던 전투기와 폭격기 300여 대를 동원해 호주의 다윈을 기습 공격했다. 이른바 ‘호주판 진주만 공습’이었다. 당시 호주군을 비롯해 연합군 병사들과 민간인 300여 명이 사망하고 미 해군 구축함 페어리호 등 함정 10척과 전투기 23대가 침몰..

동북아와 국제 정세 2024. 1. 1. 02:36

[특별기고] ‘광장 민주주의’ 없는 ‘광장 정치’에는 희망이 없다-한국일보

임혁백 고려대 명예교수 지난해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하던 임혁백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일보 자료사진 지금 한국에서는 ‘파당적 광장정치’가 광장 민주주의(agora democracy)를 질식시키고 있다. 각종 파당들은 주말마다 광화문과 서초동에서 세 몰이 집회경쟁을 하고 있다. 지금 한국 민주화의 산실인 광장은 분열되었다. 분노조절장애자들의 막말, 가짜 뉴스를 퍼 나르는 유투버들의 여론조작, 정치꾼들의 대중선동, 정당 이데올로그들의 근거 없는 정치적 공격으로 민주광장은 파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2017년 우리는 광화문광장에서 공적 토론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낸 광장 민주주의를 경험하였다. 수백만의 시민들이 ‘거리의 의회’를 열어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할 것을 요구하였고 국민의 대표인 국..

기고와 메모, 스크랩 등 2023. 12. 27. 20:3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74
다음
TISTORY
평화의 정치학, 대안의 사회과학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